생활뉴스

대구 함지산 산불, 얼마나 번졌나? 대피 및 피해 현황 총정리

note3993 2025. 4. 29. 08:45
728x90
반응형

2025년 4월 28일 오후 2시경,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일대에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해 산불은 빠르게 확산되었고, 대구 도심 인근까지 연기가 퍼지면서 긴급 대응이 이루어졌습니다.

산불 발생 및 확산 경과

  • 발생 시각 : 2025년 4월 28일 오후 2시경
  • 발생 지역 :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 산불 규모 : 발생 2시간 만에 50헥타르 소실 → 이후 총 244헥타르로 확대
  • 화선 길이 : 11.8km (7.7km 구간 진화 완료)
  • 진화율 : 약 60% 진행

산림청은 산불 대응 최고 단계인 '3단계'를 발령했고,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동하여 전국 소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했습니다.

대피 및 교통 통제 상황

  • 주민 대피 : 북구 조야동, 서변동 일대 890여 가구(1,210명) 긴급 대피
  • 고속도로 통제 :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양방향 통제
  • 시내 교통 차단 : 조야교 통제 및 시내버스 일부 노선(356번, 403번) 우회 운행

불씨가 강풍을 타고 인근 민가와 아파트 단지로까지 옮겨붙는 '비화 현상'이 발생하여, 피해 확산 우려가 매우 컸습니다.

현재 진화 작업 상황

  • 투입 장비 : 헬기 51대, 진화 차량 398대
  • 투입 인력 : 약 1,500명
  • 진행 상황 : 주불 진화 작업 집중 및 잔불 정리 진행 중
  • 피해 인명 : 현재까지 인명 피해 없음

대구시는 시민들에게 외출 자제창문 닫기를 권고하고 있으며, 연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대구시 조치 사항 및 시민 행동 요령

  • 팔공산, 앞산, 비슬산 등 주요 산지 입산 금지령 발령
  • 산불 예방 캠페인 강화
    • 산지 내 흡연, 쓰레기 소각 금지
    • 산불 목격 시 즉시 119 신고
  • 실시간 산불 정보 제공
    👉 산림청 산불 상황 시스템

기후 변화와 산불 위험성

이번 대구 산불은 2025년 3월 경북 대형 산불에 이어 또다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는 기후 변화지속적인 건조 날씨로 인해 산불 위험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경각심과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