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년 4월 19일 밤, SK텔레콤(SKT)의 내부 시스템이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을 받아 고객의 유심(USIM)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유출된 정보는 주로 유심 고유식별번호와 키값 등으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SKT는 밝혔습니다. 그러나 유심 정보는 복제폰(대포폰) 개통, 보이스피싱, 스미싱, 심 스와핑(SIM Swapping) 등 2차 피해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어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건 경과 및 SKT의 대응
- 사건 발견 및 초기 대응: SKT는 4월 19일 오후 11시 40분경 악성코드 감염을 인지하고 즉시 해당 코드를 삭제하며 해킹 의심 장비를 격리 조치했습니다. 4월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를 신고하고, 4월 22일 오전 10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에 유출 정황을 보고했습니다. 현재 유출 원인, 규모, 항목 등을 파악 중이며, 시스템 전수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고객 보호 조치:
-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제공: SKT는 고객의 유심이 제3자에 의해 무단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중입니다. 이 서비스는 홈페이지나 T월드 앱을 통해 가입 가능하며, 무단 기기변경, 로밍 사용, 비정상 인증 시도를 차단합니다.
- 피해 모니터링: 불법 유심 기기변경 및 비정상 인증 시도를 차단하고, 피해 의심 징후 발견 시 즉각 이용 정지 및 고객 안내를 시행 중입니다.
- 고객센터 운영: 사고 관련 문의를 위해 전용 고객센터(080-800-0577)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SKT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했습니다.
- 보안 강화 및 사과: SKT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며 고객 정보 보호와 보안 체계 강화를 약속했습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기술적·관리적 보안 문제점을 개선하고, 필요 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심층 분석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정부 및 당국의 대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사고의 중대성을 고려해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SKT 본사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KISA 전문가를 파견해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사고 원인 분석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자료 보존 및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조사 결과 SKT의 보안 문제점이 확인되면 시정명령을 통해 개선을 지시할 예정입니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 SKT의 개인정보 유출 경위,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의무 준수 여부 등을 조사 중이며, 법 위반 시 엄정 처분을 예고했습니다.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이용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경찰 수사: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SKT의 해킹 피해 신고를 접수하고, 해커의 정체, 유출 규모, 경로 등을 수사 중입니다.
소비자 반응
소비자들은 이번 유출 사건에 대해 강한 불안과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안과 신뢰 하락: 유심 정보 유출이 보이스피싱, 대포폰, 금융 피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한 시민은 “고객으로서 믿고 사용하는데, 유출 사실만으로 신뢰가 확 떨어진다”며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X 게시물에서도 “안내문자도 안 보내고 홈페이지로만 고지했다”며 SKT의 소통 부족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 일부 소비자와 X 사용자들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적극 권장하며, “1분 투자로 피해를 예방하자”는 메시지를 공유했습니다. 그러나 LG유플러스의 2023년 유출 사건에서 무료 유심 교체를 제공했던 것과 달리, SKT는 별도 교체 조치 없이 서비스 가입 유도만 하고 있다는 불만도 제기되었습니다.
- 법적·사회적 대응 요구: 소비자들은 이번 사건에 대한 법적 책임 추궁과 함께, 유사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SKT 유심 해킹 사태는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디지털 사회 전체의 신뢰와 안전, 그리고 민주주의의 근간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사건입니다. 유심 복제 방지 기술 강화와 금융-통신-공공 시스템의 근본적 보안 개편이 시급합니다. 정부와 기업, 이용자 모두의 경각심과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합니다.
728x90
반응형
'생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세계 라면축제 2025 - 문제점과 비판 (0) | 2025.05.07 |
---|---|
지디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 출시! 씨유 구매 및 예약방법 (0) | 2025.05.02 |
대구 함지산 산불, 얼마나 번졌나? 대피 및 피해 현황 총정리 (0) | 2025.04.29 |
현 시각까지의 트럼프 관세정책 알아보기 (1) | 2025.04.12 |
빔스 서울 팝업스토어, 롯데백화점 에비뉴엘 잠실점 오픈! (0) | 2025.04.06 |